* 기초자료실 궁통보감은 월별로 가장 원칙적인 내용만을 설명합니다.이 외의 더 깊은 변화작용은 궁통보감 책자의 원문을 참조하세요.
1.甲木論-寅月
寅월은 절기상으로 아직 차가운 기운이 남아있는 계절이므로 원칙적으로 丙火를 취용하
여 용신으로 삼고 癸水로써 보좌한다. 이는 갑목이 寅월에 생함에 있어 계절과의 조화를
의미한다. 다시말하면 아직 추운 계절에 木으로 태어났으니 먼저 태양화에 해당하는 병화를
얻고서야 갑목이 살수 있음이요, 나무의 성질상 마땅히 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인것이다.
<사례1 乾命> 己 甲 丙 甲(8) 巳 戌 寅 子
위 사례는 갑목이 寅월에 행하고 신강하며 월천간에 병화를 얻으니 목화통명을 이루었고,
년지에 子水를 얻어 병화와 서로 상극되지 아니하니 배합이 더욱 아름답다. 병화식신이 용신
이 되어 기토 재성을 시천간에서 만나니 재복이 유여하며, 원국에 기신이 없으므로 인생살이
가 평안하다.
만일 계수가 천간에 출하여도 병화와 년과 시천간으로 멀리 떨어지면 상관없다. 아래 사례
는 병화와 계수가 년과 시천간에 원격(遠隔)하여 서로 상극하지 아니하는 배합이다.
<사례2 乾命> 丙 甲 甲 癸(9) 寅 戌 寅 丑
<사례1>과 <사례2>는 갑목이 寅월 건록절에 생하여 자수성가할 팔자일 것이나, <사례1>은
월천간에 용신이 있으니 부모형제궁이 희신이 되어 부모형제의 덕이 있을 것이고, <사례2>는
용신이 시천간에 있으며 비겁이 많은 바, 부모형제 덕이 없는 배합이다. 특히 용신 병화가 <
사례1>은 지중에 록지와 장생지를 얻었고 寅戌화국을 이룬 배합으로 용신의 역량이 강왕한
데, <사례2>는 용신이 <사례1>에 비하여 역량이 떨어지므로 <사례1>의 사주가 우수하다. 거
의 비슷한 배합에 비슷한 등급이지만 정밀하게 따지면 이와같은 차이가 있음이다 |
'운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동물점] 일본에서 최고의 인기[그냥 잼으로보셈] (0) | 2006.04.29 |
---|---|
[스크랩] 卯 月의 기본원칙 (0) | 2006.04.07 |
[스크랩] 甲木論(寅月부터 丑月까지 기본정리) (0) | 2006.04.07 |
[스크랩] 24. 격국론개요 (0) | 2006.04.07 |
[스크랩] 23. 공망의 작용 (0) | 2006.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