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

[스크랩] 22. 육신에 대한 정리

걍 처음처럼 2006. 4. 7. 10:12

 

 1. 육신의 의미

 

   사주구조는 나(일간)를 포함한 여섯개의 성(星) 또는 신(神)으로 구성되어 그 상호간의 변화작용을 통하여 일간의 운명적 내용을 결정한다.

 

사주에서 일간인 나는 운명의 주인으로서 나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나머지 오신(五神)으로부터 작용을 받게되는 수동적 입장에 있으며, 일간이 직접 주변의 상화을 적극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처음 명리를 접하는 분들중에는 이러한 나와 주변의 작용이나 움직임을 혼동하거나 같은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나는 항상 주인으로서 주변의 변화작용을 모두 받아드릴 뿐이라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 이는 일간 자체는 용신이 될 수 없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2. 육신의 종류

 

육신은 나를 아신(我神)으로하여 인성, 관성, 식상성, 재성, 비겁성의 오신을 합하여 육신이라한다.

 

가. 인     성(印星)

      인성이란 나를 생조하는 오행을 말한다. 예를들어 일간이 갑목일 때 갑목을 생조해 주는 오행으로 는 수가 있음인데 수에는 다시 음과 양으로 구분하여 양수인 임수와 음수인 계수로 구분된다. 이를다시 일간을 중심으로 일간과 같은 음양일 때는 편인이라하고, 일간과 음양이 다르면 정인이라한다. 정인과 편인은 각각 우열이 있음은 아니고 격국을 구성할 때 정인격과가 편인격의 성정상의 큰 차이점이 있음을 유념하면 된다. 자평법에서는 육신을 편정으로 분리하여 편은 좋지 않은 것으로 정은 좋은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데, 이는 자평법을 잘못 이해한 후세학자들의 오해에서 기인한 것이다. 명리를 공부함에는 잘못된 지식이 굳어지면 종래는 통변에서 큰 오차가 생기므로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의 정확성을 항상 검증하고 살펴야 할것이다.(천지인 중권 176p참조)

 

나. 관     성(官星)

     관성이란 일간을 극하는 오행을 말한다. 예를들어 일간이 갑목일 때 금극목으로 일간을 극하는 오행으로는 금이 잇음인데, 금에도 음양으로 구분하여 庚금과 申금은 양금이요 辛금과 酉금은 음금이다.

이러한 음양의 구분에 따라서 일간과 음양이 서로 다르게 상극하는 관계이면 정관이라 하고, 음양이 서로 같은 관계에서 상극관계를 이루면 편관이라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자평법에서는 편관을 얻은 경우는 이를 제어하는 오행이 있어야 격국을 파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자연법적 입장에서는 전혀 그렇지 않다. 오히려 일간에 따라서는 편관을 더 선호하거나 만일 정관을 얻은 경우에는 등급이 낮아지거나 또는 운명적으로 불미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일간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에 따른 자연적 이치의 결과이다.(천지인 중권 168p참조)

 

다. 식 상 성(食傷星)

      식상성이란 일간이 생조하는 오행을 말한다. 일간을 생조하면 인성 ,일간이 생조하면 식상성이 된다.

일간이 갑목인 경우 목생화의 원리에 의하여 일간 목은 화를 생하게 되는데, 화의 오행도 음양의 구분에 의하여 병화, 사화는 양화에 속하고 정화, 오화는 음화에 속한다. 특히 사화, 오화의 경우에 사화는 음으로 대표되고 있으며 음간과 결합하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병화를 내포하여 양화로 쓰여짐을 유념하라. 반대로 오화는 양으로 대표되어 양간과 결합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정화를 내포하여 음으로 쓰여짐을 유의하라.

따라서 목일간과 음대음의 관계를 이루면 식신성이라하고, 음대양이나 양대음의 관계를 이루면 상관이라 하는데 상관의 뜻은 관성을 극상한다는 뜻이다. 특히 상관은 그 해석이 복잡하고 어려워서 많은 연구가 필요한 육신이다.(천지인 중권 188p참조)

 

라. 재       성(財星)

     재성은 일간이 관리 통제하는 오행이다.  관성이 일간을 관리 통제함에 반하여 재성은 일간의 통제관리를 받는다. 예를들어 일간이 갑목일 때 목극토의 원리에 의하여 토가 재성이 되는데, 토에는 무토와 기토 지중에서의 진술축미토가 있는 바, 양토에 해당하는 토는 무토, 술토, 진토이고 음토에 해당하는 토는 기토 , 미토, 축토가 있다.이 때 일간과 음양이 서로다른 상극관계를 가지면 즉 갑목의 입장에서 기토, 미토, 축토는 정재라하고 갑목과 음양이 같으면 편재라하며 무토, 진토, 술토가 이에 속한다.

재성은 관성과의 관계에서 배합상 중요한 의미를 가지므로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

 

 

마. 비 겁 성(比劫星)

    비겁성은 비견성과 겁재성을 말하는데 이는 일간과 동일한 오행이다. 일간과 음양이 동일하면 비견이라하고 음양이 다르면 겁재라 한다.

비견겁재는 일간과 동일한 오행으로서 형제, 자매, 동료, 친구, 동업자등을 의미하는데, 겁재의 뜻은 나의 재산을 빼앗아가는 오행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따라서 사주배합에 비겁이 많고 이를 통제관리할 관성이나 식상성이 없으면 가난하여 고생할 사주가 된다. 특히 남명에서는 비겁이 많으면 사주배합구조에 따라 다르겠으나 일단은 여복이 없고 재물이 모이지 않으며, 여명에서는 남편복이 적다.

 

 

출처 : 도경서원명리학당
글쓴이 : 德不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