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

[스크랩] 13. 천간의 상합

걍 처음처럼 2006. 4. 7. 10:06
13. 천간의 상합

 

상합(相合)이란 오행끼리 서로 결합함을 말하는데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천간이나 지지의

 

모든 오행의 변화작용은 인간사와 동일하다. 따라서 서로 합한다는 것은 부부가 서로 정합(情

 

合)하는 형상과 같은 의미인데, 이는 서로 사랑하는 관계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천간에는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의 열 개가 있는데 양간(陽干=甲, 丙, 戊, 庚,

 

壬)이 여섯 번째의 음간(陰干=乙, 丁, 己, 辛, 癸)과 결합하는 것을 천간의 상합 또는 간합(干

 

合)이라 한다. 따라서 甲은 己와 합하고 丙은 辛과 합하여 戊는 癸와 합한다. 또한 庚은 乙과

 

壬은 丁과 합하게 된다.

 

 

    간합(干合)의 운명상 변화작용은 사주 전체의 구조나 배합여부에 따라서 그 구체적인 의미

 

와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에, 그 세밀한 부분은 사주마다 다르다 할 것인 바, 아래서는 일반적

 

이고 원칙적인 기초 이론만을 설명할 것이다. 한편 격국론에서 설명하겠지만 일간이 아래와

 

같은 간합을 이루고 일정한 요건에 합치면 특별한 격국이 구성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천간합

 

에 대하여 깊이 있게 공부하기 바란다.

 

 

  가. 갑기합화토(중정지합)

 

甲木이 여섯 번째 음간이 己土와 간합하는 경우를 말하며 합하여 土를 생한다. 사주에 甲

 

己합이 있을 때 일반적인 원칙론에 의하면 명주가 마음이 관대하고 원만하며 신의(信義)가

 

있어서 세인(世人)의 존경을 받게 되며 매사에 적당한 절도가 있는 바 인품이 높다. 갑기합을

 

중정지합(中正之合)이라고도 한다.

 

 

<사례8 乾命>

 

癸     己     甲     辛

酉     丑     午     卯

 

 

 

   위 사례는 己土 일주가 午月에 생하여 시천간에 癸水를 얻고 지중에 酉丑이 단합하여 癸水

 

를 생조하니 午月 염천에 己土가 윤택하다. 위 사례는 일주가 강왕하고 용신인 癸水가 뚜렷하

 

며 사주배합이 우수하여 상격(上格)에 속하는 사주로서 甲己합을 이루고 있는 바, 명주의 인

 

품이 고매하고 매사에 시비가 분명하며 세인의 존경을 받을 만하다.

 

  위 사례는 기토 일간이 갑목과 합하여 甲己合을 이루었으나 갑목 일간이 기토와 합하여도

 

갑기합을 이룬다. 격국론의 갑기합화토격(甲己合化土格)을 참조하라.

 

 

 

  나. 병신합화수(위엄지합)

 

丙火가 여섯 번째 음간인 辛金과 간합하는 경우를 말하며 합하여 水를 생한다. 사주에 丙

 

辛합이 있는 경우, 일반 원칙론에 의하면 남녀간에 명주의 심성이 이기적이고 괴팍하며 색을

 

밝히는 사람이 된다. 특히 丙火일간이 辛金과 간합하는 경우에 더욱 적절하다. 병신합을 위엄

 

지합(威嚴之合)이라고도 한다.

 

 

 

<사례9 乾命>

 

 

乙     丙     辛     戊

未     午     酉     申

 

 

 위 사례는 丙火가 酉月에 생하여 金을 많이 만났는 바 일간이 신약하나 다행히 일지에 양인

 

을 만나고 시천간에 乙木을 얻으니 중급을 사주는 될 터이니 운로(運路)가 초년에 북방운을

 

지나가므로 초년 어려움이 극심하고 특히 천성적으로 이기적이며 괴팍한 성정인데다가, 가정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니 丙辛합의 단점들이 여실히 들어나는 사주다. 마찬가지로 신금 일

 

간이 병화와 간합하는 경우도 병신합을 이룬다. 격국론을 참조하라.

 

 

 

  다. 무계합화화(무정지합)

 

戊土가 여섯 번째 음간인 癸水와 간합하는 경우를 말하며 합하여 火를 생한다. 사주에 戊

 

癸합이 있는 경우는 대체로 남녀간에 인정이 없고 차가운 성격으로 이기적이며 화려한 것이

 

나 사치하기를 좋아한다. 무계합을 무정지합(無情之合)이라고도 한다.

 

 

<사례10 坤命>

 

戊     癸     辛     丁

午     卯     亥     酉

 

 

 

    위 사례는 癸水 일주가 亥月에 생하여 수왕(水旺)할 듯하나 지지에서 亥卯가 합목하여 설

 

기하니 도리어 신약한 바, 월천간의 辛金이 용신인데 년천간에 丁火가 투출하니 용신이 파극

 

되었다. 따라서 매사가 허명허리(虛名虛利)에 불과한 운명인데 戊癸가 상합하니 본분에 맞지

 

않게 화려하고 사치를 좋아하며 계산적이고 이기적이며 냉정한 성품의 사람이다. 사주에서

 

용신이 분명하고 강왕하면 정신이 바르고 분명하며 인품이 고매하여 세인의 존경을 받을 수

 

있겠으나, 용신이 파극된 경우에는 그와 반대의 현상이 일어난다. 무토 일간이 계수와 간합하

 

는 경우도 무계합을 이룬다.

 

 

 

 라. 경을합화금(인의지합)

 

庚金이 여섯 번째 음간인 乙木과 간합하는 경우를 말하며 합하여 金을 생한다. 사주에 庚乙

 

합이 있으면 대체로 성품이 과감하고 강직하다. 을경합을 인의지합(仁義之合)이라고도 한다

 

 

 

<사례11  乾命>

丙     庚     乙     壬

子     戌     巳     子

 

   위 사례는 庚金이 巳月에 생하고 丙火가 시천간에 투출하니 당연히 임수를 용신으로 취하

 

여 균형과 조화를 도모하는데, 용신인 임수가 지중에 뿌리를 얻어 강왕하고 일주 또한 약하지

 

아니하며 여기서 庚乙이 상합하니 명주의 성품이 곧고 바르며 절도가 있다. 을목 일간이 경금

 

과 간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마. 정임합화목(다정지합)

 

壬水가 여섯 번째 음간인 丁火와 간합하는 형태를 말하며 합하여 木을 생한다.

 

일반적으로 壬丁의 합이 사주에 있으면 명주가 지나치게 다정하여 여자인 경우는 실정(失情)

 

하기 쉽고, 남자의 경우에도 맺고 끊음이 부족하여 이성문제에 어려운 처지를 당하기 쉽다.

 

정임합을 다정지합(多情之合)이라고도 한다.

 

 

 

<사례12   坤命>

丁     壬     庚     戊

未     申     申     戌

 

  위 사례는 壬水가 申月에 생하니 戊土가 희신이 될터이나 사주에 金이 다하여 丁火를 용신

 

으로 취용하는데, 壬水와 丁火가 상합하여 명주가 다정다감이 지나치고, 또 용신이 무토와는

 

거리가 멀어 未土를 생조하니 이성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바, 실제로 그러한 번거로움을 가진

 

여인이다.

출처 : 도경서원명리학당
글쓴이 : 德不孤 원글보기
메모 :